우리가 조심해야 하는 뇌에서 보내는 이상신호

2022. 4. 12. 07:30꿀팁공유

반응형

우리가 가진 가장 자랑할 수 있는 장기는 뇌이다.

하루의 아침부터 시작해서 직장에 다녀왔다가 집에 다시 도착할때까지 활동을 멈추지 않는다.

상상력을 키우지 않고 독서를 통해 지식만 가진다면 창의적인 사람이 되기 힘들다.

 

 

 

뇌는 우리 몸에서 가장 많은 활동량을 보여줍니다.

우리가 눈으로 인식하는 모든 사물과 형체들의 모습을 머리로 인식하고 무엇을 보고 있는지 구별해냅니다.

또한 많은 정보량을 가지고 있으면 더 많은 것들을 뇌를 통해서 이미지해 만들어낼 수 있으며, 경험이 쌓일수록 더 많은 장면들을 일상생활 속에서 적용해볼 수 있습니다.

 

이런 소중한 우리의 뇌가 가끔은 우리에게 힘들다고 신호를 보낼 때가 있습니다.

이런 신호를 잘 알아내야 앞으로도 건강한 몸을 유지할 수 있는데, 무슨 신호들이 있을까요?

 

 

 

우리의 몸에 보내는 뇌의 이상신호

 

어지럼증

 

첫째는 일상에서 한 번쯤 겪어봤을만한 증상입니다.

피곤할 때에도 어지러울 있고, 운동을 너무 격하게 했을 때 현기증을 동반해서 어지러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유아, 청소년을 제외한 성인 인구의 25% 정도는 한 번씩은 경험해보았다는 통계도 존재합니다.

 

이런 어지럼증은 잠깐 앉아 쉬고 있으면 금방 괜찮아지는 특성 때문에, 큰일이 아닌 것으로 여기는 경우가 많습니다만, 어지럼증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면 반드시 전문의의 진찰을 받아야 합니다.

그 어지러움이 뇌가 보내는 이상신호일 수 있으니까요.

 

우리의 몸의 균형을 담당하는 전정기관이 이상신호를 보내는 것일 수 있습니다.

또는 심장에 무리가 갔다거나, 몇 개월간 같은 증상을 반복적으로 느꼈다면 전문의와의 진찰로 받을 수 있는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을 권장합니다.

 

반대로 절대 가볍게 생각해서는 안되는 어지럼증도 있습니다.

바로 뇌혈관질환일 수 있는 경우입니다.

뇌졸중의 초기 증상의 경우, 어지럼증이 자주 일어난다고 합니다.

그 이유로는 뇌혈관의 혈액순환에 이상이 생겨서 정상적인 활동을 하기 힘들어할 경우 그렇습니다.

몸의 균형을 잃을 정도로 비틀거리는 어지럼증 현상이 반복된다면 뇌의 이상이 있음을 알아채기 쉽지만, 사소한 어지럼증만 반복된다면 진료도 받지 않을 정도로 대수롭지 않게 여기게 되는데, 평소에도 한 번 주의를 기울여보시기 바랍니다.

 

 

 

 

 

맑지 않은 멍한 두통

겨울철에 뇌졸중이 위험이 더 커지는데, 그렇다고 다른 계절에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는 건 아니겠죠.

이 증상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뇌졸중의 위험을 우리에게 알려주기 위해 신호를 주는 것입니다.

 

추워서 몸이 갑자기 움츠러드는 것처럼 뇌혈관도 급격히 좁아질 수 있는 겨울철이나 가을의 추운 날씨일 땐, 혈압이 평소보다 더 높아질 수 있습니다.

뇌졸중은 한 번 걸리면 신체장애를 가지게 되거나 혈관이 막히거나, 혈관이 터지는 사고를 당할 수 있습니다.

 

이 맑지 않은 멍한 두통은 뇌졸중의 대표적인 위험신호로, 혈액공급이 부족해지면서 일시적으로 머리에 피가 순환되지 못할 때 일어나는 증상입니다. 고개를 들었을 때 어지럽다고 생각되면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또는 한쪽 팔이나 다리쪽이 저려오는 느낌이 들거나 말을 할 때 턱에 힘이 빠져서 발음이 샌다는 느낌이 들었다면 뇌졸중의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진찰을 받아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자가진단 방법]

 

*제목 하에 설명드리는 자가진단 방법은 의료진이 검증한 간단한 진단 방법이므로, 정확한 진단결과를 직접 판단하지 마시고 의심이 조금이라도 되는 경우, 전문의의 검사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준비물

거울을 봅시다.힘들어도

 

 

첫 번째.

크게 웃는 얼굴을 만들어본다.
한쪽 근육이 힘이 없거나 처져서 웃는 이목구비를 만들어내기 힘들지 않아야 합니다.

 

 

두 번째.

거울을 본 상태로 양팔을 정면, 직선으로 들어서 일정하게 같은 높이를 유지할 수 있는지 확인합니다.

 

 

세 번째.

목소리를 크게 하여 '아' 또는 '라'를 연속적으로 발음해봅니다.

 

 

 

 

진단방법 출처. 본인의 채널은 아님

https://www.youtube.com/watch?v=YLOxrF-Y5Gs 

 

 

 

 

 

 

 

 

 

 

 

 

 

 

반응형